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음향 렌탈vsRF 경험 현재 음향 진로 준비중인 대학교 1학년입니다! 학교는 현직 동문들 많은

현재 음향 진로 준비중인 대학교 1학년입니다! 학교는 현직 동문들 많은 학교 음향 전공 다니고 있고 최종은 연극/뮤지컬 쪽 가고싶어요! 저는 일찍부터 현장경험을 쌓아야 나중에 공부할때도 도움이 된다 생각해서매주마다 렌탈팀 알바로 근무중인데요 (스테이지크루, 가끔 플레이백)지금 나가는 회사를 정말 잘 만난 케이스라 헤드감독님이 잘 알려주시기도 하고성격이 다양한 행사가 많아서 음향 자체에는 도움이 많이 되고 있어요.그치만 뮤지컬(셋업/철수 렌탈팀 말고 공연기간 프로젝트 팀) 들어가려면 보통 Rf부터 시작해야 할텐데핀 쓰는 행사나 일반인 극단이라도 뮤지컬 관련된 행사는 많이 해본적이 없어서요 ㅠㅠ대학생이라 공강날+주말밖에 시간이 안돼서 가끔 otr같은데 올라오는 rf공고도 지원 못하는 상황인데저는 지금 렌탈팀보다 rf경험이 더 도움이 된다면 내년 한학기정도 휴학도 생각하고 있거든요..!현직에 계신 감독님들은 렌탈 경험 다수 vs 적지만 RF경험 있음 둘중에 어떤 사람을 더 선호하시나요??
감독님들의 선호는 프로젝트의 성격과 팀 구성, 그리고 감독님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현직 감독님들은 RF 경험이 있는 분들을 더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RF(무대전환, 셋업, 철수 등 무대 제작의 핵심 기술과 과정 경험)가 무대 제작의 전반적인 흐름과 세부 업무를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공연 기간 동안의 협업이 수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뮤지컬의 경우 공연기간 프로젝트 팀에 들어가기 전 RF부터 차근차근 경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RF 경험을 통해 무대 구조, 장비 조작, 전환 과정 등을 익힐 수 있고, 이는 공연의 전체적 완성도와 무대 세팅에 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진입 초기에 RF 경험이 풍부한 인재는 감독님들뿐만 아니라 현장 전체의 신뢰를 받기 쉽고, 더 빠르게 역할을 소화할 수 있습니다.
반면, 렌탈 경험이 다수인 경우에도 충분히 중요한 전문성일 수 있지만, 뮤지컬과 같은 공연에서는 RF 경험이 더 직관적이고 직접적인 무대 이해를 돕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팀 내부에서는 RF 경험이 있는 인재를 먼저 고려하는 경향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일반적으로 뮤지컬 공연 프로젝트에 들어갈 때는 RF 경험을 쌓는 것이 유리하며, 경험 많은 RF 인재가 무대 준비와 공연 중 세밀한 부분까지 조율하는 데 강점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 드립니다^^ 추가 질문은 채택 해주시면 답변드립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