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 용량 선정 = √3×정격전압(Vn)×정격차단전류(단락전류, Is)인데 여쭤보고 싶은 내용이 있습니다.1. 이 공식은 메인 CB 한정이고 ELB용량은 어떻게 선정하나요?2. LV반에 케스케이딩(계단식 보호) 구조에서 MCCB는 단락전류(사고 및 고장전류)와 과전류를 차단하는데 ELB도 누설전류와 지락전류 차단은 하는데 과전류 및 단락전류도 차단하나요? 차단을 못한다면 ELB 1차측에 MCCB를 설치하여 ELB의 후비보호(Back up protection)를 하는 것인가요? 즉, ELB는 부하를 선택차단하여 고장 구역 최소화 및 계통 운용 연속성을 확보하고, MCCB 단락 전류 Is가 하위 차단기인 ELB를 초과하는 위험 상황에서 하위 차단기인 ELB의 파손이나 폭발을 방지하여 하위 차단기 보호 및 경제성을 확보한다는 것일까요?
1. ELB용량을 물었는데 이것 ELB가 메인차단기 후단에 연결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일단은 메인차단기보다는 용량이 작아야 한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누전차단기의 용량은 일단 부하용량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부하 용량의 1.25~1.5배 정도 높은 용량으로 산정하면 됩니다
추후 부하 증가가 예상이 되면 이를 감안해서 더 큰 것으로 하면 되겠지요
2. MCCB와 누전차단기의 차이점은 하나입니다
즉 MCCB 는 단락이나 과부하 차단을 하지만 누전차단기는 MCCB 기능에다 누전시 차단하는 기능이
추가 된 것입니다. 따라서 당연히 과전류(단락전류 포함) 지락전류도 차단을 하는 것이지요
메인을 MCCB로 하고 용량을 분기차단기보다 크게 하고 분기되는 차단기는 메인 차단기보다
낮은 용량으로 설치하며 누전차단기 2차측에 연결된 전선의 허용전류보다 작아야 합니다
메인에서 분기되어 여러개의 누전차단기가 설치되는데
각 누전차단기마다 부하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 합한 부하보다 MCCB 의 용량이 커야 합니다
각 누전차단기에 연결된 부하에 고장이 발생하면 누전차단기가 먼저 동작하므로
메인차단기(MCCB)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누전차단기가 주보호가 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