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수시대학 접수 부산대(밀양) 바이오환경에너지 vs 전남대 환경에너지공학과(광주) vs 충북대 환경공학 vs 전북대

부산대(밀양) 바이오환경에너지 vs 전남대 환경에너지공학과(광주) vs 충북대 환경공학 vs 전북대 공학계열1 순위 좀 알려주세요ㅠㅠㅠㅠ 부산대는 밀양이어서 걱정되요
전북대 공학계열1은 주로 기계공, 건축공, 고분자, 바이오메디컬공학, 산업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신소재(금속소재, 전자재료), 유기소재섬유, IT응용, 전기, 토목, 항공우주, 화공, 환경공으로 이루어져 있군요.
당연히 이들 중에선 기계나 전기, 항공우주, 소프트웨어 등으로 가는 게 가장 취업에 유리하겠지만, 적성상 환경공학과를 원하시는 것 같으니 다 같은 환경공학과라고 생각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같은 과들이니, 취업하는 분야는 4곳 다 비슷하고요. 환경직 공무원은 일반환경직, 수질직, 대기직, 폐기물직 이렇게 4가지를 뽑습니다. 최근들어서 환경직 공무원 채용숫자도 늘어나고 있어서 일자리 수요는 나쁘진 않습니다. 취업이 잘 안되는 건 아닙니다.
다만 환경분야 사기업은 대기업보단 중견기업, 중소기업이 대부분이고, 환경공학 분야들 중에선 수질이 취업율은 높으나 시료채취 등 업무가 다소 노가다적인 면이 있습니다. 대기환경기사, 소음진동기사, 수질환경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토양환경기사, 폐기물처리기사 등 주로 자격증으로 먹고사는 과입니다.
https://namu.wiki/w/%ED%99%98%EA%B2%BD%EC%A7%81%20%EA%B3%B5%EB%AC%B4%EC%9B%90 환경직 공무원
환경공학 분야를 다루는 일반기술직 공무원 의 일종. 국가공무원 과 지방공무원 이 있다. 세부 직류로는 일반환
namu.wiki
학교 이름값으론 이들 중에선 전남대가 가장 낫고, 그 다음 부산대 바이오환경에너지도 좋다고 보고 있습니다. 일단 밀양캠 = 농과대학(정식명칭은 생명자원과학대학)입니다. 장전캠(부산) 학과로 전과나 복수전공도 가능하고요. 당연히 장전캠엔 농대 없으니 분교는 아닙니다.
장전캠 학과로 복수전공은 인원 많이 받아주고 어렵진 않은데, 전과는 밀양이 아무래도 시골이라 주변이 심심하고 교통이 좀 불편하니, 장전캠으로 전과 원하는 학생이 많아서 장전캠 학과로의 전과경쟁이 치열한 편인 건 맞습니다.
그리고 부산대는 장전캠 학과로 복수전공 신청하면, 원전공학과(밀양캠)에서 들어야 될 전공선택학점(심화전공)을 좀 빼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만큼 밀양캠에서 전공수업을 덜 들어도 졸업이 가능해지는 셈이고요.
그리고 교양과목을 장전캠에서 듣는 방법도 있고요. 또한 장전캠 학과를 복수전공할 경우, 3~4학년 동안은 원전공이 밀양캠 학과인 학생들도 장전캠 기숙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밀양캠(농대)에서 장전캠 학과를 복수전공하는 사람이 많다보니 그렇게 허용해주는 것 같습니다.
부산대의 최대 장점 중 하나는 해외명문대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매우 발달한 점입니다. 전남대, 전북대, 충북대 등 다른 지거국들도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나쁘진 않은데, 부산대가 특히 더 좋은 편입니다.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22423 부산대 환태평양대학협회 회의 첫 참가.. 세계 명문대와 학생교류
[베리타스알파=신승희 기자] 부산대가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대학들의 협의체인 '환태평양대학협회(APRU, Association of Pacific Rim Universities)' 총장연례회의에 참가해 미국 UC 리버사이드, 싱가포르국립대, 홍콩대, 큐슈대 등 13개
www.veritas-a.com
​https://international.pusan.ac.kr/international/14724/subview.do
위 링크에서 대학명 또는 국가명 치고 검색하면 부산대 학생들이 어떤 대학교로 교환학생 가는지 다 나옵니다. 세계100위 이내거나 각국에서 SKY급 명문대들로 꽤 많이 갑니다. 홍콩대, 홍콩중문대, 난양이공대(NTU. 2025 QS랭킹 세계12위, 아시아3위), 코펜하겐대, 레이던대, 흐로닝언대(레이던/흐로닝언 모두 네덜란드의 400년 이상된 명문대로 영어 유창.), 취리히대(아인슈타인의 박사학위 모교), 뮌헨공과대(2022년까지 18명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 야기엘론스키대(폴란드 최초의 대학으로 700년 가까운 역사 자랑. 폴란드의 옛 수도인 크라쿠프에 위치. 동문으로 지동설을 처음 주장한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 교황 요한바오로2세, 김상욱 국회의원 등 유명), 캘리포니아주립대 롱비치(캘리포니아주립대 중 탑3급. 위치도 LA옆), 뉴욕시립대, 뉴사우스웨일스대(UNSW), 퀸즐랜드대, 애들레이드대, 오사카대, 큐슈대, 토호쿠대, 홋카이도대(일본 구 제국대학들), 와세다대, 게이오대, 국립대만대(대만의 서울대), 상하이교통대, 난징대, 인민대 등등 세계100위 이내급 내지 그에 준하는 명문대들로 엄청 많이 보내줍니다.
이 정도면 연고대의 교환학생 프로그램 다음 수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대1년간 해외명문대 수재들과 생활/수업 체험할 기회고요. 학비는 현지대학이 아닌 본인 원소속대학교 기준대로 냅니다. 기숙사비(배정은 보통 해줌) 식비는 대개 자부담이나 이것도 장학금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셔서 본인 장단점도 파악해보시고 현지 수재들의 자신감/자존감 넘치는 마인드도 경험해보시는 것도 인생에서 드문 기회라고 봅니다. 때문에 저는 꼭 인서울대여야만 시야 넓어진다 생각하진 않습니다.
이걸 통해서 현지명문대에서 들을 수업을 밀양캠 학과의 전공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면, 밀양캠에서 들을 수업을 더 줄일 수 있는 셈입니다. 물론 교환학생 신청 전에 해외대학에서 뭐뭐과목 들을지 수강계획서 쓰는 게 있는데, 이 해외대학 과목들을 전공과목으로 인정받으려면, 그 과 주임교수(학과장)님의 승인을 받아야 됩니다.
생각보다 밀양캠에서 듣는 수업을 줄일 방법은 많이 있습니다. 어느 학기에는 밀양캠(생명자원과학대학)에서만 수업듣고, 그 다음학기에는 장전캠에서만 수업듣는다거나 이런 식으로 시간표 잘 짜는 것도 중요하고요.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