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역사교사가 진로인 고2 학생입니다 성적이 안돼 사범대는 포기하고 사학과로 진학하려고 하는데요서울여대 정도 생각중입니다학창시절에도 성적이
성적이 안돼 사범대는 포기하고 사학과로 진학하려고 하는데요서울여대 정도 생각중입니다학창시절에도 성적이 좋은 편이 아닌데 임용고시를 합격할 수 있을까에 대한 두려움이 큽니다 만약 사학과를 나와 임용고시에 실패한다면 어떤 진로가 가능하죠? 사학과를 나오면 교사 이외의 직업은 별로 없다고 들었습니다.. 생기부는 역사 교육과 사학과 철학과 정도로 채웠습니다 임용 많이 어렵나요? 임용이 되지 않는 다면 희망이 있나요? 요즘은 전공에 따라 직업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나요?
역사교사 경로부터 정리합니다.
- 사범대 역사교육과가 최단이지만, 일반대 사학과도 교직이수로 중등정교사 2급 가능. 다만 학과마다 교직이수 선발 인원과 경쟁이 있어 사전에 확인이 필수입니다.
- 사학과 졸업 후 교육대학원(역사교육 전공)에서 교원자격을 취득하는 루트도 많습니다.
- 임용은 지역·연도별 TO 변동이 크고 경쟁이 높은 편이라 1~3년 이상 준비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전공+교육학, 수업실연·면접까지 균형 준비가 핵심입니다. 사립학교 별도 채용, 기간제 교사로 경력 쌓는 방법도 있습니다.
임용이 안되거나 진로를 바꾸고 싶을 때의 선택지입니다.
- 박물관·미술관 학예·교육사, 문화재·관광 분야, 기록연구·아카이브
- 출판·교과서·에듀테크 콘텐츠 기획·편집, 다큐·전시 기획
- 학원 강사, 온라인 튜터, 역사·문화 해설·투어 기획
- 일반행정·교육행정 등 공무원
- 기업의 기획·마케팅·HR 등 전공 무관 신입 채용 다수
대학 선택·준비 팁입니다.
- 희망 대학 사학과의 교직이수 가능 여부, 선발 인원·평균학점, 현장실습·임용 실적을 체크하세요.
- 부전공·연계전공(박물관학, 기록관리 등) 유무는 커리어 확장에 유리합니다.
- 지금은 학업 기본기와 글쓰기·발표 역량, 한국사능력검정 심화, OA·데이터 리터러시(엑셀 등)까지 함께 준비하면 선택지가 넓어집니다.
전공은 기반일 뿐, 직무는 역량으로 가는 시대입니다. 교사 준비를 하되, 위의 대안 루트와 역량을 병행해 두면 충분히 길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