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잘 받았습니다. 추가적인 드려요. 그러면 중경외시 이상이 아닌이상 저의 진로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부산대 경북대가
그러면 중경외시 이상이 아닌이상 저의 진로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부산대 경북대가 더 낫다는 건데, 그러면 수시원서 6장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의 내신은 1.9~2.0이고 학생부는 어느정도 열심하 채웠기에 중경시 정도는 학종으로 도전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일단 생각하능 수시 원서 6장은 1. 중앙대 물리 학종(70 30 최저X) 11월 30일 면접 4배수 ✔️ 도박2. 경희대 물리 학종 (70 30 최저X) 11월 30일 오전 면접, 3배수✔️ 도박3. 서울시립대 물리 학종 (50 50 최저X) 11월 22일 면접, 3배수✔️ 도박4. 부산대 물리 교과(2합5(한국사 4이내, 과탐2개 응시 필수, 수학 포함, 80 20, 인원제한X) ✔️ 안정5. 경북대 물리 교과(2합6(사/과탐1, 한국사는 등급반영안하고 응시만 하면됨) 80 20인데 서류평가 영향력 없음 인원제한X) ✔️ 쌉안정6. 숭실대 자유전공 인문 교과(2합6(사/과탐1, 한국사는 등급반영안하고 응시만 하면됨) 교과 100) 추천인원제한X ✔️ 적정이렇게 생각하고 있는데요. 저는 사실 진로적인 면을 떠나서 서울라이프도 한번 생활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커서, 만약에 부산대와 경북대 숭실대를 모두 붙을 시에 어디를 가는게 좋을지도 고민입니다. 제가 각 대학교 홈페이지를 찾아본 결과 건국대 동국대는 저의 진로와 확실히 맞지 않는 듯 했는데요. 숭실대는 그래도 자연과학 연구소를 대학에서 운영중이고, 입자물리 천체물리 교수진도 계시고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천체물리 연구소도 있기에, 저의 진로를 실현해나가기에 그렇게 어려움이 있는 학교라는 생각은 들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저는 중경시 중 붙는다면 고민없이 중경시를 가겠지만, 부산 경북 숭실 이 학교 중에서는 우선순위를 어떻게 두어야 할지 아직 정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고, 또한 이 원서 구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또한 궁금합니다.
아까 링크는 대단한 건 아니었고, 부산대 나노과학기술대 출신으로 홍콩대 전임교수까지 오른 신동명 교수라는 분 사례였습니다. 아래 프로젝트에 공동연구진으로 참여하셨고요.
https://blog.naver.com/pnupurm/222286755846 [나노에너지공학과] 황윤회·오진우 교수, 바이오 물질 전기 특성 측정해 나노 발전기 적용
M13 박테리오파지 압전·변전 특성, 열처리 없이 이종 전극 활용해 측정 성공 나노에너지공학과 황윤회·오...
본론으로 돌아가서 제가 보기에 원서 구성은 적절히 하셨다고 보여집니다. 부산경북이 이공계로는 중앙 경희 시립대와 비교해도 학교가 학생에게 주는 메리트는 그리 떨어지진 않는다고 보는데요.
https://bk21four.nrf.re.kr/sub01/sub114/subteamlist.do

BrainKorea21 Four -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안내 공지사항 Q&A 성과공유 자료실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사업안내 사업소개 직원소개 교육연구단(팀) 소개 미래인재 양성사업 혁신인재 양성사업 교육연구단(팀)소개 사업안내 교육연구단(팀)소개 검색 전체 373 건 엑셀 다운로드 사업분야 지원분야 단위 교육연구단명 교육연구단장 대학명 홈페이지 기초과학(단) 물리 전국 4단계 BK21 포스텍 물리교육연구단 김태환 포항공과대학교 ph.postech.ac.kr/research/bk21.php 기초과학(단) 물리 전국 글로컬 문제 해결형 물리 리더 양성 교육연구단...
일단 국책연구프로젝트인 4단계 BK21 홈페이지의, 교육연구단(팀)에 들어가서 대학교명 치고 현재 수행중인 프로젝트(2020~2027 까지 7년간 수행)가 있는지 검색해봤는데, 아쉽지만 숭실대 물리학과는 현재 수행중인 프로젝트가 없었고요. 경북대 물리는 확실히 학생분이 생각하시는 분야와 밀접한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https://physicsbk.knu.ac.kr/ 입자와 물질의 양자특성 교육연구단
경북대학교 4단계 BK21사업 <em>물리학과</em> 홈페이지 입니다.
부산대 물리도 "혁신융합형 물리인재 교육연구단"이라는 이름으로 BK21 프로젝트 수행중인데 지금 부산대 홈페이지가 대체로 먹통이라서 아래 링크로 대신 첨부합니다.
https://www.kps.or.kr/content/community/post_view.php?bt=6&post_id=3305 한국물리학회
(신)구인안내 [부산대학교] BK21 BK교육연구단 채용안내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3-10-25 조회수 396 부산대학교 4 단계 BK21 혁신융합형 물리인재 교육연구단 신진연구인력 ( 박사후연수연구원 및 계약교수 ) 채용 공고 부산대학교 물리학과 혁신융합형 물리인재 교육연구단에서는 신진연구인력 (박사후연수연구원 및 계약교수)를 초빙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1. 초빙분야 및 채용 인원 - 초빙분야: 물리학 전분야 - 채용인원: 1명 (박사후연수연구원 또는 연구교수 임용 여부는 교육연구단 규정에 따름) - 임 용 일: 202...
https://www.google.com/search?sa=N&sca_esv=e29194d70e62ae1b&hl=en&sxsrf=AE3TifNSBa5YFG81vKQv4uBdjkx2O-gU6A:1753960571485&udm=2&fbs=AIIjpHxU7SXXniUZfeShr2fp4giZ1Y6MJ25_tmWITc7uy4KIeqDdErwP5rACeJAty2zADJgYJpo1blvMpITBRgbnARM6y8KwxzRsF24u6g33NutBQk1S-RR8dLoDJR9686CLVdg9Q_EUs_BjdKuE5UHVatFal8-b3KgWP0iY93D-hipALCFd3QmFUCoy4bxXbS9o37S1EEnt6Os9GBr8ksganLVE876N2g&q=%ED%98%81%EC%8B%A0%EC%9C%B5%ED%95%A9%ED%98%95+%EB%AC%BC%EB%A6%AC%EC%9D%B8%EC%9E%AC+%EA%B5%90%EC%9C%A1%EC%97%B0%EA%B5%AC%EB%8B%A8&ved=2ahUKEwi91sCm_OaOAxVPs1YBHZfXABU4ChC0qAt6BAgSEAE&biw=1422&bih=659&dpr=1.35 혁신융합형 물리인재 교육연구단 - Google Search
이런 점에서 봤을 때는 그래도 확실하게 본인 진로분야에서 국책연구프로젝트를 수행중인 경북대 물리가 가장 낫다고 보고요. 그 다음 부산대 물리라고 봅니다. 학생분도 연구경험 쌓고 생활비도 쏠쏠하게 벌 수 있는 기회기도 하고요.
그리고 BK21은 이번 4단계에서 끝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합니다. 기술발전이 불필요하지 않는 한, 국책연구프로젝트 사업은 앞으로도 계속 존재할 수밖에 없고요.
혹시나 해서 중앙대, 경희대, 시립대 물리학과에도 수행중인 국책연구프로젝트가 있는지 찾아봤습니다.
https://bk21four.cau.ac.kr/physics/ BK21_홈페이지
비전과 목표 중앙대학교 교육연구팀 비전과 목표 입니다. 연구분야 중앙대학교 교육연구팀 연구분야 입니다. 교육연구팀장 인사말 중앙대학교 교육연구팀 교육연구팀장 인사말 입니다. 사업신청서 중앙대학교 교육연구팀 사업신청서 입니다. 교육연구팀장 인사말 교육연구팀장 교육연구팀장 교육연구팀장 MORE
중앙대 물리는 규모는 작지만(교육연구'단' 보다 교육연구'팀'이 사업비, 인원 모두 규모가 작습니다.), 그래도 학생분 진로와 밀접한 프로젝트를 수행중이고요.
경희대는 기초물리나 이론물리학은 없고, '양자 디지털 기술 혁신인재 교육연구단' 이라고 있는데 아쉽게도 홈페이지 링크는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
시립대는 전기전자 분야로 '스마트 도시 구현을 위한 나노전자시스템 미래인재 양성 교육연구팀'은 있지만 물리학 분야는 없었습니다.
사실 저는 서울라이프보다 해외명문대에서 현지 수재들과 생활/수업도 같이 경험해보고, 그들의 자신감/자존감 넘치는 마인드를 체험하며, 본인의 장단점도 파악해보는 게 더 값진 경험이라고 보긴 합니다. 이런 기회가 서울라이프보다 훨씬 더 드물기도 하고요. 서울 가는 것이 해외 나가는 것보다 어렵지는 않으니까요. 그래서 인서울대보다 지거국 가서 교환학생 등으로 해외명문대 생활/수업 체험해보는 걸 더 권했던 것도 있습니다. 지거국이 교환학생 프로그램 수준이 높기도 하고요.
그래도 서울라이프를 체험해보고 싶다면, 학점교류라는 제도도 있습니다.
https://onestop.pusan.ac.kr/page?menuCD=000000000000099 부산대학교 - 학생지원시스템
전체 닫기 수학신청 - 정규학기 지원자는 본교에서 2학기 이상 이수자 또는 이수예정인 자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고, 직전학기 학사경고자는 제외한다. 다만, 대학원생은 1학기 이수 중에 있는 자도 신청할 수 있다. 등록과 휴학중의 학점 인정 - 타 대학 정규학기 지원자는 수학하고자 하는 학기의 등록금을 본교에 납부하여야 하며, 계절수업 지원자는 수학대학에 납부하여야 한다. - 휴학기간 동안 타 대학에서 이수한 학점은 인정받을 수 없다. 다만, 계절수업 수강을 위해 복학하여 타 대학에서 계절수업으로 이수한 학점은 인정받을 수...
정규학기라면 등록금은 본인 원소속대학교 기준으로 내며(단, 여름/겨울방학 계절학기라면 현지대학교 기준으로 냅니다.), 국내학점교류는 해외교환학생과는 달리, 마지막 학기에 다녀도 졸업에 지장없습니다. 해외교환학생 1년 다녀와도 1년 정도는 인서울대(서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시립대, 동국대 등. 부산대 기준임)로 나가보실 수 있습니다. 이것도 해외교환학생과 마찬가지로 현지 대학에서 들은 수업을 전공학점으로 인정받으려면, 출발 전에 뭐뭐과목 들을 것인지 수강계획서 써서 사전에 학과장(주임교수)님께 검토받아야 됩니다. 기숙사 문제는 학점교류 가려는 대학교 측에 따로 알아봐야 되며, 그게 안되면 서울시나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기숙사(동래학숙이나 남명학사 등의 ~~학숙, ~~학사 등등) 등을 알아보셔야 될 것입니다. 남명학사는 본인이나 부모님 주소지가 경남일 경우 신청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경북대도 인서울대로 학점교류 신청은 가능한데, 인서울대 중 학점교류 신청할 만한 대학이 서울대랑 숙명여대 (여대지만 남학생도 신청 가능)뿐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학점교류신청은 최대 2년까지 다녀올 수 있는데, 해외교환학생을 가게 된다면 국내학점교류는 최대 1년까지만 다녀올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즉 못해도 최소 2년은 본인 원소속 대학교에서 수업들어야 된다는 뜻이고요. 이건 대부분의 대학들이 공통입니다.
찾으면서 저도 많이 배워갑니다. 도움이 되셨을 지 모르겠습니다.